친환경 경영방침


오리온은 경영방침에 따라 '지속 가능한 친환경 경영'을 추구하며 '제품의 개발/생산/판매/폐기 전 과정에 걸친 친환경 활동 전개'라는 방향성을 가지고 다음과 같이 친환경 경영을 실천하고 있습니다.
01 환경법규 준수
우리는 환경 관련 법규를 준수하고, 보다 엄격한 환경관리 기준을 적용하여 환경리스크를 철저히 예방합니다.
02 친환경 경영체계
우리는 전사적인 친환경 경영체계를 바탕으로 실행목표를 설정하고 환경성과를 정기적으로 측정해 개선해나갑니다.
03 친환경 활동
우리는 제품의 개발/생산/판매/폐기 전 과정에서 에너지 절감 및 온실가스 감축, 환경오염물질 감량 등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는 활동을 지속 추진합니다.
04 임직원 실천
우리는 전 임직원이 이러한 환경방침을 이해하고 실천할 수 있도록 환경교육 및 역량강화 기회를 제공합니다.
(주)오리온 대표이사 이 승 준
친환경 경영 전담조직
이사회 산하 의사결정기구인 'ESG위원회'를 설치하여 환경관련 투자 등 주요 ESG이슈 및 추진사항에 대한 심의와 전사적인 의사결정을 내리고 있으며, ESG 전담조직인 CSR팀 ESG파트 산하에 '그린TF'를 구성하여 전사차원의 친환경 경영전략을 수립/실행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세워진 친환경 경영 전략은 생산(각 공장)/ENG/총무 조직에서 관련 친환경 활동을 전담하여 실행하고 있습니다.
ESG 의사결정기구
ESG전담조직
친환경 경영 전략 수립/실행 전담



안산공장)


-
임직원 환경교육 친환경 경영이 실제 업무에 적용될 수 있도록 임직원을 위한 환경교육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
환경 성과평가 친환경 경영에 관한 항목에 대해 법인/조직별 성과를 평가, 관리하고 있습니다.
친환경 경영 중장기 목표 및 전략체계
오리온은 Green Growth 라는 비전을 달성하기 위해 '기후변화 대응'과 '지속가능한 자원순환'이라는 전략방향을 가지고 아래와 같이 중장기 목표 및 전략과제를 수립하여 추진하고 있습니다.
비전 | 오리온 GREEN GROWTH | ||||||
---|---|---|---|---|---|---|---|
전략방향 | 기후변화 대응 |
지속가능한 자원순환 |
|||||
중장기목표 | 온실가스 배출량 에너지 사용량 매년 3%이상 감축 (원단위 기준) |
2030년 온실가스 배출량 30%이상 감축 ('18년 대비) |
2030년 용수 사용량 10% 이상 폐기물 배출량 20% 이상 감축 ('20년 대비, 원단위 기준) |
2030년 친환경 포장 90%까지 확대 |
|||
전략과제 |
·온실가스 저감활동 발굴 및 실행 ·에너지 재활용 및 재생에너지 도입 ·글로벌 탄소배출 통합관리시스템 구축 |
·용수/폐기물 관리체계 강화 ·폐기물 감축/재활용 확대 ·용수 절감/재이용량 확대 |
·친환경 인쇄 확대(플렉소) ·재활용 가능한 포장재 사용 ·착한 포장 프로젝트 지속 |
||||
![]() |
|||||||
추진방법 |
|
주요 친환경 활동 및 실적
오리온그룹은 온실가스 배출량을 2030년까지 30%이상 감축(2018년대비)하기 위해 매년 원단위 3%이상 감축하는 목표로 다양한 활동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2021년에는 국내 식품업계 최초로 ‘글로벌 탄소배출 통합관리시스템’을 구축했으며, 2022년에는 온실가스/에너지 뿐만 아니라 용수/폐기물/환경오염물질 등 모든 환경정보를 통합관리하기 위해 ‘글로벌 환경정보시스템’으로 업그레이드 하였습니다. 또한 법인단위의 ‘환경경영시스템(ISO14001)인증’을 획득했으며, 제품 판매단계에서의 탄소배출 저감을 위해 ‘영업용 전기차’를 도입하여 운영 중입니다.
(단위 : 억원)
2020년 2021년 2022년
구분 | 단위 | 2020 | 2021 | 2022 |
---|---|---|---|---|
원료 총 사용량 | 톤 | 172,253 | 169,863 | 195,874 |
원료 총 구매액 | 억원 | 2,602.9 | 2,765.4 | 3,784.8 |
부자재 총 사용량 | 톤 | 125.6 | 116.9 | 115.8 |
종이류 | 톤 | 74.6 | 71.9 | 75.0 |
플라스틱 | 톤 | 4.3 | 7.6 | 9.2 |
잡자재 등 | 톤 | 46.7 | 37.4 | 31.6 |
잉크/용제 등 | 개 | 1,365,667 | 1,343,696 | 1,230,052 |
부자재 총 구매액 | 억원 | 376.2 | 401.5 | 375.3 |
친환경 부자재 구매액 | 억원 | 274.0 | 310.3 | 296.3 |
종이류 | 억원 | 242.8 | 279.9 | 260.0 |
재활용가능 플라스틱 | 억원 | 13.3 | 10.1 | 10.7 |
수성잉크/용제 등 | 억원 | 17.9 | 20.3 | 25.6 |
친환경 부자재 구매비중 | % | 72.8% | 77.3% | 79.0% |
친환경 포장제품 매출액 | 억원 | 4,877.6 | 5,377.8 | 7,006.7 |
※ 친환경 매출 산정기준 : 친환경 포장재 적용한 제품 매출 (친환경 인쇄 적용제품, 제3자 인증제품)
기후변화 대응
전세계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그룹 차원의 온실가스 감축 및 에너지 관리 노력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있습니다.
국내는 2022년 온실가스 배출량을 전년대비 원단위 3%이상 감축하는 목표로 다양한 활동을 추진한 결과, 6.4% 감축하였습니다.
('21년 원단위 0.78 ⇒ '22년 0.73) 2022년 에너지 사용량은 전년대비 3% 원단위 절감하는 목표로 생산설비 개선 등 에너지 효율 향상 활동을 추진하여 6.1% 절감하였습니다.('21년 원단위 0.02 ⇒ '22년 0.01)
뿐만 아니라 자회사 및 협력회사에도 에너지 절감 및 온실가스 감축 기술을 지원하고 있으며, 해외법인에서는 신재생에너지 투자를 적극 확대해 나가고 있습니다. 이러한 노력들을 인정받아 '2021년 국가품질혁신상' 탄소중립부문 참여기업 중 업계 내에서 유일하게 심사기준을 통과해 국무총리표창을 수상했습니다.※ 국내 온실가스 배출량 및 에너지 사용량 집계범위 : 국내 전체 사업장(본사,공장,영업소,물류센터 등)
구분 | 2020 | 2021 | 2022 |
---|---|---|---|
직접배출량 | 26,680 | 25,822 | 27,090 |
간접배출량 | 41,087 | 39,307 | 40,613 |
총량 | 67,647 | 65,129 | 67,703 |
원단위 (tCO2e/제품톤) |
0.81 | 0.78 | 0.73 |
구분 | 2020 | 2021 | 2022 |
---|---|---|---|
연료사용량 | 501 | 484 | 512 |
전기사용량 | 819 | 797 | 824 |
스팀사용량 | 15 | 14 | 15 |
총량 | 1,335 | 1,295 | 1,351 |
원단위 (TJ/제품톤) |
0.02 | 0.02 | 0.01 |
용수/폐기물 관리
제품과정에 투입되는 수자원의 효율적인 사용을 위해 전년대비 원단위 2% 절감하는 목표로 용수 절감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22년 용수사용량 2.9% 절감 : '21년 원단위 8.11 ⇒ '22년 7.87) 특히 청주공장은 감자세척에 사용된 용수를 100% 기타 세척용수로 재활용하여 친환경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또한 폐기물을 전년대비 원단위 3% 저감하는 목표로 관리하고 있습니다. ('22년 폐기물발생량 5.5% 증가 : '21년 원단위 0.090 ⇒ '22년 0.095) 포장을 뜯기만 하면 진열할 수 있는 친환경 '원스톱 패키지'로 제작한 간식이 필요해 시리즈를 출시했고, 각 공장에서는 오니슬러지, 식물성 잔재물을 퇴비와 토질개선을 위한 목적으로 100% 사용하고 있습니다.※ 용수 사용량 및 폐기물 배출량 집계범위 : 국내 주요 사업장(본사,청주공장,익산공장,안산공장)
구분 | 2020 | 2021 | 2022 | |
---|---|---|---|---|
용수 취수량 | 상수도 | 479,448 | 517,147 | 565,615 |
지하수 | 156,525 | 159,549 | 164,276 |
|
계 | 635,973 | 676,696 | 729,891 |
|
원단위(톤/제품톤) | 7.58 | 8.11 | 7.87 |
|
용수 재이용량 | 23,375 | 14,233 | 14,241 |
|
배출량 | 612,598 | 662,463 | 715,650 |
|
재이용률 | 3.7% | 2.1% | 2.0% | |
폐수 배출량 | 395,808 | 446,392 | 486,438 |
구분 | 2020 | 2021 | 2022 | |
---|---|---|---|---|
일반 폐기물 | 재활용 | 7,759 | 7,509 | 8,451 |
소각 | 0 | 0 | 100 | |
기타 | 0 | 0 | 0 | |
소계 | 7,759 | 7,509 | 8,551 | |
지정 폐기물 | 재활용 | 1 | 1 | 231 |
소각 | 10 | 5 | 5 | |
기타 | 0 | 0 | 0 | |
소계 | 11 | 6 | 259 | |
합계 | 7,770 | 7,515 | 8,810 | |
원단위(톤/제품톤) | 0.093 | 0.090 | 0.095 | |
폐기물 재활용량 | 7,742 | 7,429 | 8,682 | |
배출량 | 28 | 86 | 129 | |
재활용률 | 99.6% | 98.9% | 98.5% |
환경위험관리
실질적인 위험관리를 위해 본사와 공장의 사고대응체계를 사업장의 특성에 맞게 운영하고 있습니다.
안전보건파트장
관할소방서
신고
각 팀 파트장

부분별 근무자
사고대책위원장(공장장)

사고대책부위원장(각 조직 파트장)

- 안전사고
대책반
(안전보건환경파트) - 환경사고
대책반
(안전보건환경파트) - 소방사고
대책반
(설비파트)
취급하는 모든 화학물질 대상을 철저히 관리하고 있습니다. MSDS(물질안전보건자료) 기준을 통해 분석용 시약 530종을 관리하고 있으며, 법적 리스크 관리, 사용/보관시설 관리를 통해 환경위험관리를 하고 있습니다.
-
법적 리스크 관리
- 장외영향평가서, 설치 검사, 정기검사 완료
-
사용/보관 시설관리
- 보관소 내 시건 장치, 안전보호구함, GHS, 온ㆍ습도계, MSDS, 저장용기, 환풍기, 사용일지 유지관리
'22년 익산공장의 대기환경보전법 위반 2건(①대기환경기술인 미선임 과태료300만원, ②대기오염물질방지 시설 부적절 운영 과태료200만원)이 있었으며, 해당 사항은 시정 후 관리 운영하고 있습니다.
환경정보공개시스템 바로가기환경영향 저감 및 생물종다양성 보전 활동
오리온재단에 기부금을 출연하여 아래와 같이 지역사회 환경영향 저감활동과 생물종다양성 보전활동을 이행하고 있습니다.
※해양동물생태보전연구소(MARC) 연구실적
- '상괭이 행동생태 연구', '음향 모니터링을 통한 서식 및 분포 현황 조사' 등
→ '22년 여수 연안 41일(984시간) 간의 음향조사 기간중 16일간 상괭이 출현 확인
환경영향 저감활동 | 생물종다양성 보전 활동 | |||
---|---|---|---|---|
![]() |
![]() |
![]() |
![]() |
![]() |
월드비전 GLOBAL 6K FOR WATER 1,500만 원 (2018~2020) |
제주테크노파크 제주수자원보호 7,000만원 (2021) |
곶자왈공유화재단 곶자왈생태보존 1억 원 (2021) |
WWF (재)한국세계자연기금 상괭이(토종돌고래)보호 1,000만 원 (2021) |
MARC 해양동물생태보전연구소 상괭이(토종돌고래)보호 500만 원 (2022) |
합계 약 4억 원 |